오늘날 많은 분들이 고민하시는 탈모, 그 중에서도 특히 남성형 탈모의 대표적 유형인 M자 탈모 확인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탈모는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관리를 시작할수록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기 때문에 본인의 두피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M자 탈모란 무엇인가?
안드로겐성 탈모증의 대표적인 형태로 이마 양쪽 가장자리부터 모발이 후퇴하면서 점차 M자 형태를 이루는 탈모 패턴을 말합니다. 주로 남성에게 많이 나타나지만 여성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유전적 요인과 남성 호르몬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영향을 받아 발생합니다.
M자 탈모 확인법의 중요성
초기에는 눈에 잘 띄지 않을 수있어 본인이 인지하지 못한 채 상당히 진행된 후에야 발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M자 탈모인지를 조기에 확인하여 초기 단계에서 징후를 발견한다면 적절한 관리로 탈모 진행을 늦추거나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효과적인 M자 탈모 확인법 5가지
1.전,후 사진 비교법
가장 기본적인 M자 탈모를 확인하는 방법은 정기적으로 동일한 각도와 조명에서 사진을 찍어 비교하는 것입니다. 스마트폰 카메라로 6개월 간격으로 동일한 조명, 동일한 각도에서 정면 및 측면 사진을 촬영합니다. 특히 이마 헤어라인과 정수리 부분을 명확히 촬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진을 시간순으로 저장하여 변화 추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노먼-노우드 척도 활용법
노먼-노우드 척도는 남성형 탈모의 진행 단계를 1단계부터 7단계까지 구분한 척도로 의학적으로 인정받는 M자 탈모를 확인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 1~2단계 : 경미한 이마 헤어라인 후퇴, M자 모양 형성 시작
■ 3단계 : 정수리 부분 탈모와 M자 부분이 연결되기 시작
■ 4~5단계 : 정수리 부분 탈모와 M자 부분이 연결되기 시작
■ 6~7단계 : 광범위한 탈모, 뒷머리와 옆머리만 남음
본인의 두피 상태가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 비교하여 탈모 진행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3.모발 밀도 확인법
특정 구역의 모발 밀도를 확인하는 방법도 효과적인 M자 탈모 확인법입니다.
확대경이나 모발 확인영 디지털 현미경을 준비하여 이마 헤어라인에서 1cm 안쪽 부분의 모발 밀도를 확인합니다. 이때 정수리 부분의 모발 밀도를 확인하고 뒷머리 측면(탈모가 진행되지 않는 부위)과 비교하여 모발 직경이 감소되었는지, 가늘어진 모발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4.일일 탈모량 기록법
정상적인 경우 하루에 50~100개 정도의 모발이 빠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그러나 이보다 많은 양의 탈모가 지속된다면 M자 탈모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메모장이나 탈모 기록 앱을 준비하시고 매일 아침에 베개나 침구에 빠진 모발 수를 확인합니다. 또는 샴푸 후 배수구에 모인 모발의 수를 기록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평소 머리를 빗을 때 빠지는 모발 수를 확인하거나 1주일 단위로 평균 탈모량 계산 및 추이를 관찰하시면 되겠습니다.
5.전문가 진단 및 트리코스코피 검사
가장 정확한 M자 탈모 확인법은 내원을 하여 검진을 받는 방법입니다. 특히 트리코스코피라는 비침습적 검사법을 통해 모낭의 상태를 자세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
검사 내용은 모낭 밀도 측정, 모발 직경 다양성 평가, 두피 상태 및 염증 여부 확인, 미니어처화(모발이 점점 가늘어지는 현상) 정도 평가하게 됩니다.
M자 탈모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얻으시려면 아래 사이트로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대한모발학회 바로가기!!
결론
M자 탈모는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히 관리할수록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M자 탈모 확인법을 통해 본인의 두피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의심 증상이 있다면 상담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탈모는 완전한 치료보다는 진행속도를 늦추고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주요 목표임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삶에도움되는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헬리코박터균 가볍게 여기면 안 돼요! (0) | 2025.03.24 |
---|---|
귀에서 삐 소리가 들릴 때 알아야 할 모든 것 (1) | 2025.03.23 |
초고도 비만 그 위험성과 관리에 대한 모든 것 (0) | 2025.03.21 |
야맹증 비타민, 당신의 밤 시력을 지키는 영양소 (0) | 2025.03.20 |
맑은 콧물 원인 증상과 대처 법 완벽 가이드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