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이 뻐근할 때 의심할 수 있는 질환 3가지는 무엇이 있는지 아십니까? 현대인들은 몸을 움직이는 일보다 앉아서 하거나 많이 움직이지 않는 직업을 가진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컴퓨터나 휴대폰을 주로 사용하다 보니 더욱이 몸에 무리가 많이 가는 것 같습니다.
여기에 스트레스까지 더해지니 아무리 건강한 신체라 해도 조금씩 축나는 건 시간 문제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 중에서도 목이 뻐근하다며 통증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적지 않은데 오늘은 이러한 때 의심해 볼 수 있는 3가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근육의 문제
목이 뻐근하다고 해서 무조건 고혈압이나 혈관의 문제로 여기는 건 옳지 못합니다. 의외로 뼈나 근육의 문제일 가능성도 많기 때문입니다. 오래 앉아서 컴퓨터를 하거나 스마트폰을 많이 보면 목의 근육이 긴장될 수 있습니다. 이는 목을 뻐근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며, 근육의 긴강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잘못된 자세로 인해 근육이 뭉치면서 신경이 눌리면 마비감이 들 수 있습니다. 때문에 장시간 앉아서 일을 하거나 운전을 할 때 적어도 1시간 단위로 스트레칭을 하셔서 근육을 풀어주시는 게 중요합니다.
◆ 확인 방법
목이 뻐근한 부분을 마시지를 해주었을 때 통증이 줄어들거나, 스트레칭 후 증상이 완화되면 근육의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신경을 눌러 마비증상까지 느껴지게 하며, 오래 방치하면 두통으로 발전하기도 합니다.
신경의 문제
목이 뻐근할 때 의심 가능한 현상으로 경추(목뼈) 디스크나 신경의 압박이 있으면 특정 부위가 저리거나 마비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목 부위의 신경 압박은 위에서 언급한 근육 긴장으로 인한 뭉침 현상이나 목 디스크가 튀어나와 신경을 압박하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목 뿐만 아니라 어깨도 통증이 느껴지며 팔이나 손이 저리거나 힘이 빠지기도 하며, 특정 방향으로 목을 돌릴 때증상이 악화됩니다.
◆ 확인 방법
목을 특정 방향으로 돌려보십시오. 그렇게 했을 때 증상이 심해지거나 팔까지 저리다면 신경의 문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근육이 아닌 목의 경추가 신경을 압박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는 신경의 문제를 넘어 목 디스크까지 확인을 하셔서 사전에 다스리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혈관의 문제
고혈압이나 경동맥 협착과 같은 혈관의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혈압이 높거나 혈관이 좁아지면 뇌로 가는 혈류가 부족해져 뻐근함이나 저림이 느껴지며 어지러움증까지 동반하게 됩니다. 여기서 경동맥 협착에 대해 잠시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뇌로 혈액을 공급하는 경동맥(목에 있는 주요 혈관)이 좁아지는 현상으로, 이는 주로 혈관이 딱딱해지고 좁아지는 현상인 동맥경화 때문에 발생하며, 심할 경우 뇌로 가는 혈류가 차단되어 뇌졸중 위험이 높아집니다. 경동맥 협착의 초기 증상으로는 한쪽 팔다리의 일시적인 마비 또는 저림이 느껴지며, 갑자기 발음이 흐려지거나 말이 어눌해집니다. 그런가 하면 한쪽 눈이 흐려지거나 시야가 좁아지기도 하며, 어지럼증 또는 순간적으로 의식이 혼미해 지는 현상도 발생합니다.
◆ 확인 방법
먼저 혈압의 문제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혈압측정을 해비소기 바라며, 위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가슴의 통증이나 어지러움, 두통, 말이 어눌해지는 증상이 있다면 즉시 확인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마무리
목이 뻐근할 때 의심해 볼 수 있는 질환은 크게 3가지로 뭉친 근육이 신경을 압박하는 것과 신경 자체의 문제로 인한 경우, 그리고 혈관의 문제로 혈액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를 들 수 있습니다. 혹시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 중 목이 뻐근함이 느껴지신다면 설명드린 3가지 현상을 의심해 보시고 확인 방법대로 확인해 보시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삶에도움되는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치가 답답하고 트림 잦을 때 이렇게 관리하세요! (0) | 2025.03.18 |
---|---|
건성 각 결막염 건조한 눈이 보내는 위험 신호 (0) | 2025.03.17 |
콜린성 두드러기 원인부터 예방 법까지 완벽 정리 (0) | 2025.03.14 |
아르기닌 부작용 극복을 위한 올바른 섭취 방법 (0) | 2025.03.14 |
수근관 증후군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예방 (0) | 2025.03.13 |